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 해석 해설

by bloggermin2 2023. 6. 2.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고려가요.경기체가 중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가요.경기체가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향락적 풍류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 해석 해설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 해석 해설입니다.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




한림제유의 경기체가, 한림별곡<고려 고종(11921259)>

현대어풀이
제1장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주필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 
아, 과시장(科試場)의 모습 그 어떠합니까 
(엽) 금의(琴儀)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금의의 죽순처럼 많은 제자 
아, 나까지 모두 몇 분입니까 

제2장 
당서 한서, 장자 노자, 한유 유종원의 문집 
이백 두보의 시집, 난대집, 백거이의 문집 
시경 서경, 주역 춘추, 대대례 소대례를 
아, 주(註)마저 줄곧 외운 일의 정경, 그 어떠합니까 
(엽) 태평광기 400여 권, 태평광기 400여 권 
아, 두루 읽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제3장 
안진경체, 비백서, 행서 초서 
전주체, 과두체, 우세남체를 
양털붓, 쥐털붓 비껴 들어 
아, 내려찍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엽) 오생 유생 두 선생의, 오생 유생 두 선생의 
아, 붓 놀리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제4장 
황금주, 백자주, 송주 예주 
죽엽주, 이화주, 오가피주를 
앵무잔, 호박잔에 가득 부어 
아, 올리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엽) 유영 도잠 두 선옹의, 유영 도잠 두 선옹의 
아, 취한 모습 그 어떠합니까 
제5장 
분홍모란, 흰모란, 진분홍모란 
분홍작약, 흰작약, 진분홍작약 
석류 매화, 노란 장미 자색 장미, 지지꽃 동백꽃들이 
아, 사이 사이 핀 모습 그 어떠합니까 
(엽)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울리는 고운 두 분,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울리는 고운 두 분 
아, 서로 바라보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제6장 
아양의 거문고, 문탁의 피리, 종무의 중금 
대어향, 옥기향이 타는 쌍가얏고 
김선의 비파, 종지의 해금, 설원의 장고로 
아, 밤 새워 노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엽) 일지홍이 비낀 피리 소리, 일지홍이 비낀 피리 소리 
아, 듣고서야 잠들고파라 

제7장 
봉래산, 방장산, 영주산의 삼신산 
이 삼신산 붉은 누각에 신선아이 데리고 
풍류객이 비단 장막 속에서 주렴을 반만 걷고 
아, 산에 올라 오호를 바라보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엽) 푸른 버들 푸른 대 자라는 정자 둔덕에, 푸른 버들 푸른 대 자라는 정자 둔덕에 
아, 지저귀는 꾀꼬리 반갑기도 하여라 

제8장 
당당당 당추자(호도나무), 조협(쥐엄)나무에 
붉은 실로 붉은 그네를 매옵니다 
당기거라 밀거라, 정소년아! 
아, 내가 가는 그곳에 남이 갈까 두려워 
(엽) 옥을 깎은 듯 부드러운 두 손길에, 옥을 깎은 듯 부드러운 두 손길에 
아, 손 잡고 노니는 모습 그 어떠합니까. 


핵심정리
▶연대 : 고려 고종(1214~1259) 때 
▶작자 : 한림학사(한림 유생들) 
▶갈래 : 경기체가 
▶성격 : 과시적, 풍류적, 향락적, 귀족문학 
▶내용 : 전 8장은 각각 1시부, 2서적, 3명필, 4명주(名酒), 5화훼, 6음악, 7누각, 8추천등의 팔경(八景)을 노래함
▶표현 : 열거법, 영탄법, 설의법, 반복법 
 이 시에 사용된 시어는 함축적이라기보다는 지시적이며, 개인의 내면적 정서보다는 객관적인 사물들을 그대로 운율에 맞게 나열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구성 : 전 8장의 분절체(각 장에서 1~4행은 전대절, 5~8행은 후소절이라 함, 율격은 334조의 3음보이다) 
▶주제 : 향락적 풍류생활 
▶출전 : <악장가사> <악학궤범> 
▶의의 : 경기체가의 효시, 가사문학에 영향을 줌. 

평가문제
1. 이 노래의 시상 전개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① 논리적 순서에 따른 전개
② 계절의 순환에 따른 전개
③ 선경 후정에 따른 전개
∨④ 나열과 집약에 따른 전개
⑤ 공간의 점층적 배치에 따른 전개

2. 이러한 종류의 노래 형식의 유래가 되는 구절을 찾아 쓰라
景(경)긔 엇더니잇고

3. 이 노래에 반영된 고려인의 생활상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득의에 찬 자부심
② 풍류를 즐기는 넉넉한 마음
③ 화려한 문화 생활
④ 귀족층과 서민층과의 계층적 위화감
∨⑤ 무신들의 기개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우리나라 독특한 시형인 경기체가의 첫 작품으로 꼽힌다.
노래 내용에는 교만한 신흥 관료들의 방탕한 일면이 있지만 그 당시 문인 관료들의 삶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이 노래가 만들어진 시기는 대개 고종 3년(1216)으로 본다. 최충헌의 막부에서 일한 문인들에 의하여 새로운 시형이 모색된 것이다. <고려사 악지>에는 고려 고종 때 여러 한림들이 지었다고 되어 있다. 󰡐한림별곡󰡑이란 이름도 여기에서 나온다. 이 노래는 바로 이 시의 첫 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인물들이 서로 지어 부르면서 흥취를 돋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고려사 악지>의 속악조와 <악장가사>에 실린 노랫말에서는 이 노래 가운데 우리말 부분이 그대로 기록된 데 비해 <고려사 악지>에 후렴 부분이 전자에는 󰡐경(景) 긔 엇더하니잇고󰡑로 후자에는 󰡐경기하여(景幾何如)󰡑로 표기된다는 점이다.

* 한림별곡에 대한 일반적 평가 :
①교만한 양반 사대부들의 방탕한 일면이 있지만 그 당시 사대부들의 삶의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노래의 지은이는 바로 이 시가 첫 머리에 보이는 여러 인물들로서 각기 지어 합석한 자리에서 서로 부르면서 흥취를 돋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시기는 고종3년(1216)으로 본다.최철,고전시가강독,p.89
②한림이란 조정에서 벼슬하면서 문학을 하던 선비를 지칭한 것이다.....이 노래는 한림들의 전형적인 놀이 모습을 자만에 찬 내용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백성들은 어려운 외적의 침입을 받아 헐벗고 있는데 최씨 막부의 문인들의 교만하고 방탕스런 놀이 행각은 당시 시대의 지배관료층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는...최철, 국문학개론,p.60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4 ebs 수특b

더 알아보기
고려 고종(高宗)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들이 합작한 경기체가(景幾體歌)의 시초 작품. 당시 무관들이 정권을 잡자, 벼슬 자리에서 물러난 문인들이 풍류적이며 향락적인 생활 감정을 현실도피적으로 읊은 노래이다. 기본 음률수가 334로서, 별곡체(別曲體)라는 독특한 음률과 구법(句法)을 가지는 경기체가의 효시(嚆矢)가 되었다. 모두 8장(章)으로 이루어졌으며, 시부(詩賦)서적(書籍)명필(名筆)명주(名酒)화훼(花卉)음악(音樂)누각(樓閣)추천(韆)의 순서로 각각 1장씩을 읊어 당시 한림의 생활상을 묘사하였다. 그러나 처음 3장까지만 문사들의 수양과 학문에 연관이 있고, 나머지 5장은 풍류라기보다 향락적인 내용으로 되었다. 
또한 경기하여체가(景幾何如體歌), 곧 경기체가라는 호칭은 이 노래의 각련(各聯) 끝이 󰡐…경(景) 긔엇더니잇고󰡐로 되어 있음에서 유래한다. 가사는 <악학궤범(樂學軌範)>과 <악장가사(樂章歌詞)>에 국한문(國漢文)으로,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는 한문과 이두(吏讀)로 각각 실려 전한다. 이와 같은 형식의 별곡체 작품은 이 <한림별곡>에서 비롯하여 충숙왕(忠肅王) 때 안축(安軸)의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죽계별곡(竹溪別曲)>이 나왔고, 조선시대에도 수많은 별곡체의 노래를 지었다. 
경기체가는 <한림별곡>으로부터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 작품은 연대가 가장 오래인 작품으로, 제작 연대는 13~14세기 주장도 있으나 믿기 어렵고, 학계 논의를 폭넓게 수용할 때 1216년(고종 3)~1230년 사이로 추정된다. 

<고려사> 권71 󰡐악지󰡑에는 󰡒이 노래는 고종 때 한림의 여러 선비가 지은 바다.󰡓라고만 기록되어 있어 작자가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1장에 나오는 금의(琴儀) 문하의 유원순(兪元淳)이인로(李仁老)이공로(李公老)이규보(李奎報)진화(陳樺)유충기(劉沖基)민광균(閔光鈞)김양경(金良鏡) 등이라고 보는 견해가 대부분이며, 이 작품은 여러 선비가 지었다는 기록과 모두 8장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 사람이 한 장씩 돌아가며 지었다고 볼 수 있다. 주제는 작자층으로 보이는 신진사대부들의 득의에 찬 노래로 보고 있다. 

내용
문신들의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생활을 읊은 노래로, 매 장마다 독특한 제재 하나씩을 채택, 시부(詩賦)서적(書籍)명필(名筆)명주(名酒)화훼(花卉)음악(音樂)누각(樓閣)추천(그네)의 순으로 노래했다. 

【각 장의 소재 및 주제】 
제1장 : 시부(詩賦)  시인과 문장 예찬 
제2장 : 서적(書籍)  학문과 독서에 대한 긍지 
제3장 : 명필(名筆)  서체와 필기구 
제4장 : 명주(名酒)  주흥(酒興) 
제5장 : 화훼(花卉)  화원의 서경(경치) 
제6장 : 음악(音樂)  흥겨운 주악 
제7장 : 누각(樓閣)  후원(後苑)의 서경 
제8장 : 추천(그네)  그네 뛰는 흥겨운 정경 

형식상의 특징
<한림별곡>은 고려 때 한림들이 즐기던 여러 가지 문학과 풍류 등을 연장체 형식에 담아 노래한 것이다. 우선 각 연마다 한자에 의한 한문식 기록이다. 그러나 제8연만은 한글 위주의 표현임을 유념하게 된다. 때문에 이를 전하는 고려사에서는 노래의 내용에 나오는 우리말을 운운리어(云云俚語)라 하여 생략하고 한문식 표현만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이는 내외적으로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즈음한 시기에 만들어진 작품이란 점에서 그 작자들을 불우 인사로 보기도 하고, 또는 신흥 사대부 계층이라는 한 견해가 있다. 이 노래에 등장하는 팔경에서 보듯, 이에는 상당히 호화스럽고 퇴폐적인 모습이 담겨져 있다. 고급 문사들의 손에 의해서 불리워졌다는 것은 여기에 쓰이고 있는 한문투를 보아 곧 짐작할 수 있다. 전편의 대부분이 한자어로 이루어졌지만, 이는 한자어를 교묘하게 연결시켜 우리 고유의 율격에 맞게 구성한 시 형태이므로 여기에는 물 흐르듯 고운 음악적 운율미가 있어 시적 감흥을 대하게 된다. 

출제목록
2016년 ebs수능특강
2015년 ebs수능특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