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시조.가사 중 조존성의 시조 호아곡 08년 수능특강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조.가사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안빈낙도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조존성의 시조 호아곡 08년 수능특강
조존성의 시조 호아곡 08년 수능특강 해석 해설
조존성의 시조 호아곡 08년 수능특강 해석 해설입니다.
조존성의 시조, 호아곡 08년 수능특강
조존성의 시조, 호아곡(呼兒曲)
아이야 구럭망태 찾아라 서산에 날 늦겠다
밤 지낸 고사리 하마 아니 쇠었으랴
이 몸이 이 푸새 아니면 조석 어이 지내랴
아이야 도롱 삿갓 차려라 동간에 비 지겠다
기나긴 낚싯대에 미늘없는 낚시 매어
저 고기 놀라지 마라 내 흥겨워 하노라
아이야 죽조반 다오 남무에 일 많아라
서투른 따비를 뉘 마주 잡으려뇨
두어라 성세궁경도 역군은이샷다
아이야 소 먹여 내어라 북곽에서 새 술 먹자
대취한 얼굴을 달빛에 실어오니
어즈버 희황상인을 오늘 다시 보노라
단어해석
제1수
구럭망태 : 구럭과 망태. 모두 새끼로 얽어서 만들어 물건을 넣어 메고 다니게 된 것. 어두 : 찾아라. 얻으우에서 으가 생략되어 얻우로 되고 이것이 연철되어 어두가 됨
푸새 : 풋나물
朝夕(조석) : 아침저녁의 끼니.
제2수
되롱삿갓 : 도롱이와 삿갓, 도롱이는 비옷.
찰화 : 차려라.
東澗(동간) : 동쪽 산골짜기. 동쪽 시냇물.
비지거다 : 비가 내렸다.
미늘 : 낚시의 바늘이 꼬부라진 곳. 낚시에 돋힌 갈고리.
제3수
粥旱飯(죽조반) : 아침 식사 전에 먹는 죽.
南畝(남무) : 남쪽 밭이랑. 따부 : 밭을 가는 농기구의 한 가지. 따비.
聖世躬경(성세궁경) : 태평시대에 몸소 밭을 가는 것.
제4수
北郭(북곽) : 북쪽 마을.
羲皇上人(희황상인) : 희황 시대의 태평한 세월에 살던 때의 백성. 회창(羲皇)은 중국 신화 시대의 제왕으로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가르쳤고, 목축을 하여 먹을 것을 마련하게 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고 전한다.
핵심정리
▶갈래 : 연시조
▶주제 : 전원에서 누리는 안빈낙도
구성
제1수 : 서쪽 산에서 고사리 캐기(서산채미)
제2수 : 동쪽 냇물에서 낚시하기(동간조어)
제3수 : 남쪽 밭에서 밭 갈기(남묘궁경)
제4수 : 북쪽 마을에서 술 마시기(북곽취귀)
이해와 감상
작가는 선조인조에 이르기까지 벼슬을 지내고 물러난 후 자연에 묻혀 사는 한가한 생활을 노래한 연시조이다. 초야에 묻혀 살아가는 선비의 생활 나물 캐기, 낚시질, 밭 갈기, 술 마시기 이 4수에 차례대로 나타나 있다. 제1수에서는 구럭과 망태를 들고 산으로 나물을 캐러 다니는 은사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여기서 고사리는 선비의 검소한 생활을 상장하는 소재이다. 제2수에서는 동쪽 시냇물에서 낚시질을 하는데, 이는 고기를 낚기 위해서가 아니라 여흥을 위해서이다. 강태공이 미늘 없는 낚시로 때를 기다렸다는 고사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제3수는 비록 서투르지만 직접 농사를 짓는 모습을 담고 있다. 그러면서 태평성대를 누릴 수 있게 한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다는 말을 잊지 않고 있다. 제4수에서는 북쪽 마을에 가서 새로 담은 술을 마시고 크게 취하여 달빛 받으며 돌아오면서, 중국 상대의 태평성대에 사는 기분을 느끼고 있다.
더 알아보기
지은이: 조존성(15531627)
본관은 양주. 자는 수초, 호는 정곡·용호. 아버지는 용인현령 준수로, 남에게 입양되었다. 성혼·박지화에게 배웠다. 백사 이항복과 교분이 깊었다. 1613년(광해군 5) 생모추존을 반대하여 파직 당했다가, 1623년 인조반정 후에 형조와 호조의 참판, 동지돈녕부사, 부총관 등을 역임했다. 이괄의 난이 평정된 뒤에 지중추부사 겸 지의금부사가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1627년 정묘호란 때 분조의 호조판서로 세자를 따라 전주에 갔다가 돌아와 병으로 죽었다.
출제목록
2021년 ebs수능완성
2008년 ebs수능특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