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설화.가전.소설 중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장화홍련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설화.가전.소설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가족간 갈등, 권선징악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장화홍련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장화홍련전 해석 해설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장화홍련전 해석 해설입니다.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장화홍련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줄거리
세종조에 평안도 철산에 배무룡이라는 좌수가 있었는데, 그의 부인이 선녀로부터 꽃송이를 받는 태몽을 꾸고 장화를 낳았다. 그리고 2년 후 홍련을 낳았다. 홍련이 다섯 살 때에 부인이 죽자, 좌수는 대를 잇기 위하여 허 씨와 재혼하였다.
허 씨는 용모가 추할 뿐 아니라 심성이 사나웠으나 곧 삼형제를 낳았다. 허 씨는 아들이 생긴 뒤 전부인의 딸들을 학대하기 시작하였다. 장화가 정혼을 하게 되자, 혼수를 많이 장만하라는 좌수의 말에 재물이 축날 것이 아까워 장화를 죽이기로 흉계를 꾸며, 큰 쥐를 잡아 털을 뽑아서 장화의 이불 속에 넣었다가 꺼내어 좌수에게 보이고 장화가 부정을 저질러 낙태하였다고 속여, 아들 장쇠를 시켜 못에 빠뜨려 죽였다. 그 순간 호랑이가 나와 장쇠의 두 귀와 한 팔, 한 다리를 잘라가 장쇠는 병신이 되었다.
이에 계모는 홍련을 더욱 학대하고 죽이려 하였다. 홍련은 장쇠에게서 장화가 죽은 것을 알았고, 또 꿈에 장화가 홍련의 꿈에 나타나 원통하게 죽은 사실을 알려주자, 홍련은 장화가 죽은 못을 찾아가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그로부터 그 못에는 밤낮으로 곡소리가 났으며, 원통하게 죽은 두 자매가 그 사연을 호소하려고 부사에게 가면 부사는 놀라서 죽었다. 이런 이상한 일 때문에 부사로 올 사람이 없었는데, 마침 정동우(鄭東佑)라는 사람이 자원하여 부사로 부임하였다.
도임 초야에 장화 홍련이 나타나 원통하게 죽은 원인과 원을 풀어줄 것을 간청하였다. 이튿날 부사는 좌수 부부를 문초한 바, 장화는 낙태하여 투신자살하였고, 홍련은 행실이 부정하더니 야음을 틈타 가출하고 소식이 없으며, 장화의 낙태물이라고 증거물을 제시하는 것을 보고 사실인 것 같아, 좌수 부부를 훈방하였다.
그날 밤 꿈에 두 소저가 나타나 계모가 제시한 낙태물의 배를 갈라 보면 알 것이라 하고 사라졌다. 이튿날 부사는 다시 그 낙태물을 살피고 배를 갈라 보니 쥐똥이 나왔다. 이에 부사는 계모를 능지처참하고, 장쇠는 교수형에 처하였으며, 좌수는 훈방하였다.
그리고 못에 가서 자매의 시신을 건져 안장하고 비(碑)를 세워 혼령을 위로하였더니, 그날 밤 꿈에 두 자매가 다시 나타나 원한을 풀어 준 일을 사례하며, 앞으로 승직할 것이라 하였다. 그 뒤 그 말대로 부사는 승직하여 통제사에 이르렀다.
한편, 배 좌수는 윤 씨를 세 번째 부인으로 맞았는데, 꿈에 두 딸이 나타나 상제가 전세에 못다 한 부녀의 연분을 다시 이으라고 하였다는 말을 전하고, 윤 씨 부인은 꿈에 상제로부터 꽃 두 송이를 받은 태몽을 꾸고 쌍동녀를 낳아 꿈을 생각하여 장화와 홍련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두 자매가 장성하여 평양의 부호 이연호의 쌍동이와 혼인하여, 아들 딸을 낳고 복록을 누리며 잘살았다.
핵심정리
▶작자 연대 : 미상
▶형식 : 고전 소설, 가정형 계모소설. 사실담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
▶성격 : 전기적, 교훈적
▶주제 : 권선징악(勸善懲惡)
▶의의 : 계모와 전처자식의 관계에서 빚어질 수 있는 윤리의 문제점과 무능한 가장으로 인해 가정이 파멸되는 비극적 모습을 가족구성원 간의 갈등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후처제의 제도적 모순과 함께 가장의 무책임을 함께 다루는 현실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계모 허 씨를 악인으로, 장화홍련을 선인으로 묘사하여 선악의 대립에서의 선의 승리하는 방향으로 작품을 이끌어 가고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로, 한 가정이 파멸되는 비극적인 모습을 그리고 있다. 계모와 전처 자식 간의 갈등으로 인해 전처의 자식들이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이야기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에서 빚어진 윤리적인 문제를 다룬다. 효종 대 전동흘(全東屹)이 평안도 철산 부사로 재직할 당시 실제로 처리한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콩쥐팥쥐전」과 함께 대표적인 계모형(繼母型) 소설로 손꼽힌다.
<추가>
작자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필사본 목판본 활자본이 모두 전하며, 이들을 표기문자에 따라 다시 한글본, 한문본, 국한문본으로 나눌 수 있다. 한글본은 효종연간에 전동흘 (全東屹)이 평안도 철산부사로 가서, 배좌수의 딸 장화(薔花)와 홍련(紅蓮)이 계모의 흉계로 원통하게 죽은 사건을 처리한 사실담(事實談)을 소재로 하여 쓴 한문본을 대본으로 하여 썼다.
한문본은 전동흘의 6대손 만택(萬宅)의 간청에 의하여 박인수(朴仁壽)가 1818년(순조 18) 12월 1일에 쓴 것이다. 이 한문본은 전동흘의 8대손 기락(基洛) 등이 1865년(고종 2)에 편찬한 ≪가재사실록 嘉齋事實錄≫과 ≪가재공실록 嘉齋公實錄≫(全庸甲, 1968)에 실려 있고, 국한문본은 ≪광국장군전동흘실기 光國將軍全東屹實記≫에 전한다.
한글 필사본은 신암본(薪菴本)과 의산본이 있으며, 한글 목판본은 자암본(紫岩本)․송동본(宋洞本)․불란서동양어학교본(佛蘭西東洋語學校本) 등이 있다. 구활자본(딱지본)은 13종이나 되는데, 특징에 따라 세창본(世昌本, 1915년)․영창본(永昌本, 1915년)을 비롯하여 동명본(同明本, 1915년) 계열로 나뉜다. 이 작품은 공안류소설(公案類小說)인 동시에 가정형계모소설(家庭型繼母小說)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한글본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세종조에 평안도 철산에 배무룡이라는 좌수가 있었는데, 그의 부인이 선녀로부터 꽃송이를 받는 태몽을 꾸고 장화를 낳았다. 그리고 2년 후홍련을 낳았다. 홍련이 다섯 살 때에 부인이 죽자, 좌수는 대를 잇기 위하여 허씨와 재혼하였다.
허씨는 용모가 추할 뿐 아니라 심성이 사나웠으나 곧 삼형제를 낳았다. 허씨는 아들이 생긴 뒤 전부인의 딸들을 학대하기 시작하였다. 장화가 정혼을 하게 되자, 혼수를 많이 장만하라는 좌수의 말에 재물이 축날 것이 아까워 장화를 죽이기로 흉계를 꾸며, 큰 쥐를 잡아 털을 뽑아서 장화의 이불 속에 넣었다가 꺼내어 좌수에게 보이고 장화가 부정을 저질러 낙태하였다고 속여, 아들 장쇠를 시켜 못에 빠뜨려 죽였다. 그 순간 호랑이가 나와 장쇠의 두 귀와 한 팔, 한 다리를 잘라가 장쇠는 병신이 되었다.
이에 계모는 홍련을 더욱 학대하고 죽이려 하였다. 홍련은 장쇠에게서 장화가 죽은 것을 알았고, 또 꿈에 장화가 홍련의 꿈에 나타나 원통하게 죽은 사실을 알려주자, 홍련은 장화가 죽은 못을 찾아가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그로부터 그 못에는 밤낮으로 곡소리가 났으며, 원통하게 죽은 두 자매가 그 사연을 호소하려고 부사에게 가면 부사는 놀라서 죽었다. 이런 이상한 일 때문에 부사로 올 사람이 없었는데, 마침 정동우(鄭東佑)라는 사람이 자원하여 부사로 부임하였다.
도임 초야에 장화․홍련이 나타나 원통하게 죽은 원인과 원을 풀어줄 것을 간청하였다. 이튿날 부사는 좌수 부부를 문초한바, 장화는 낙태하여 투신자살하였고, 홍련은 행실이 부정하더니 야음을 틈타 가출하고 소식이 없으며, 장화의 낙태물이라고 증거물을 제시하는 것을 보고 사실인 것 같아, 좌수 부부를 훈방하였다.
그날 밤 꿈에 두 소저가 나타나 계모가 제시한 낙태물의 배를 갈라 보면 알 것이라 하고 사라졌다. 이튿날 부사는 다시 그 낙태물을 살피고 배를 갈라 보니 쥐똥이 나왔다. 이에 부사는 계모를 능지처참하고, 장쇠는 교수형에 처하였으며, 좌수는 훈방하였다.
그리고 못에 가서 자매의 시신을 건져 안장하고 비(碑)를 세워 혼령을 위로하였더니, 그날 밤 꿈에 두 자매가 다시 나타나 원한을 풀어 준 일을 사례하며, 앞으로 승직할 것이라 하였다. 그뒤 그 말대로 부사는 승직하여 통제사에 이르렀다.〔Ⅰ〕
한편, 배좌수는 윤씨를 세 번째 부인으로 맞았는데, 꿈에 두 딸이 나타나 상제가 전세에 못다한 부녀의 연분을 다시 이으라고 하였다는 말을 전하고, 윤씨부인은 꿈에 상제로부터 꽃 두 송이를 받은 태몽을 꾸고 쌍동녀를 낳아 꿈을 생각하여 장화와 홍련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두 자매가 장성하여 평양의 부호 이연호의 쌍동이와 혼인하여, 아들 딸을 낳고 복록을 누리며 잘살았다.〔Ⅱ〕
한문본 및 국한문본의 줄거리는 〔Ⅰ〕과 같고, 한글본은 〔Ⅰ〕과 환생(還生) 후의 이야기〔Ⅱ〕를 합한 것이다.
〈장화홍련전〉은 계모와 전처자식의 관계에서 빚어질 수 있는 윤리의 문제점과 무능한 가장으로 인해 가정이 파멸되는 비극적 모습을 가족구성원 간의 갈등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후처제의 제도적 모순과 함께 가장의 무책임을 함께 다루는 현실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계모 허씨를 악인으로, 장화홍련을 선인으로 묘사하여 선․악의 대립에서의 선의 승리하는 방향으로 작품을 이끌어 가고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참고문헌≫ 朝鮮名臣錄, 嘉齋事實錄(全基洛, 1865), 朝鮮小說史(金台俊, 學藝社, 1939), 李朝時代小說論(金起東, 精硏社, 1959), 韓國小說發達史(申基亨, 彰文社, 1960), 韓國古代小說史(朴晟義, 日新社, 1964), 嘉齋公實錄(全庸甲, 1968), 光國將軍全東屹實記(全庸甲, 1968), 天安全氏大同譜(1968), 韓國訟事小說硏究(李憲洪, 三知院, 1997).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8년 수능완성
2016년 수능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