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해석 해설

by bloggermin2 2023. 6. 4.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설화.가전.소설 중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설화.가전.소설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부패 사회상 비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해석 해설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해석 해설입니다.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까치전

줄거리
각설 천지만물 생길 적에 모충 삼백과 우족 삼천이 있으니, 그 가운데 한 우족의 성은 까요 명은 치라. 로 시작된다. 까치가 나무 끝에 높이 보금자리를 짓고 낙성연을 베풀어 즐길 적에 학, 두루미, 까마귀, 꾀꼬리 등 온갖 우족들을 초청한다. 그런데 초청을 받지 못한 비둘기가 불만을 품고, 까치를 찾아가 다투다가 까치를 죽이게 된다. 이에 과부가 된 암까치가 군수에게 고변하여 낙성연에 모였던 날짐승들의 증언을 듣게 된다. 비둘기의 뇌물을 받은 두꺼비가 까치가 다투다가 절로 떨어져 죽었다고 위증을 하여 비둘기는 협의가 풀려 석방된다. 까치의 장례를 치르고 삼년상을 지낸 뒤, 할미새가 고면(돌이켜 봄)을 하여 암행어사가 된 난춘이 이 사실을 바로 잡아, 뇌물을 먹고 거짓 증언한 두꺼비를 정배시키고, 암까치로 하여금 살해자인 비둘기에게 보복을 하게 한다. 
그 뒤 암까치는 남편의 영혼과 교접하여 1남 1녀를 얻고 많은 자손들을 거느리며, 부귀를 누리며 살게 된다. 이 작품에는 까치와 비둘기가 선악의 대조적 인물로 성격화되어 있다. 비둘기는 일상에선 평화의 상징이라 일컫는데, 여기에서는 까치집을 약탈하기 위해 까치를 살해하고도 그 책임을 전가시키고 있다.  

등장인물
▶보라매(군수) : 엉터리 증언만을 믿고 비둘기의 죽음을 단순 사고사로 판결하는 군수. 안이하고 무능한 관장을 대표함.
▶비둘기 : 상당한 재력을 소유한 인물. 그의 성격은 놀부전의 놀부나 옹고집전의 옹고집과 유사함. 비둘기는 당대 향촌사회의 신흥졸부이면서 수령이나 관아 주변의 인물들과 결탁하여 서민층을 수탈하던 인물을 대표함.
▶두꺼비, 구진, 앵무새 : 실세에 빌붙어 이익일 챙기는 지방 관아의 주변인물.
▶까치, 할미새, 두견새, 까마귀, 따오기 : 지배층과 유력자의 횡포에 시달리며 그들의 눈치를 보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조선후기 서민들을 대표함.
▶할미새 : 처음에는 양심상 거짓 고변을 회피하려 미친이로 행세하다가 나중에 용기를내어 사건의 진상이 드러나게 한 인물

핵심정리
▶갈래 : 국문 필사본, 우화소설, 세태풍자소설
▶성격 : 우화적, 비판적, 비유적
▶의의 : 당대 서민들의 억울한 실정과 관리와 관 주변 실세들이 결탁하여 지방해정을 좌지우지하던 부패한 사회상을 풍자, 비판함
▶표현 : 가탁법(인가을 조류에 의탁하여) 
▶주제 : 까치의 억울한 사정을 통한 무능한 관리와 부패한 사회상의 비판
▶배경 : 황해도 안악군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까치와 비둘기를 각각 선악의 상징으로 내세워 의인화시킨 작품이다. 암행어사가 잘못된 일을 바로잡고 범인을 벌하는 고전소설의 일반적인 공식을 따르고 있다. 이 작품의 새들은 각각 관직을 가지고 등장하여, 그에 알맞는 성격으로 의인화되어 있다. 탐관오리와 토호가 손잡고 선량한 백성을 괴롭히던 당시의 사회상을 풍자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까치와 비둘기가 선악의 대조적 인물로 성격화되어 있다. 비둘기는 일상 평화의 상징이라 일컫는데, 여기에서는 까치집을 약탈하기 위해 까치를 살해하고도 그 책임을 전가시키고 있다. 이것은 전승적인 관습을 깨뜨린 대담한 구성이다. 암행어사로 하여금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범인을 척결하는 구성법은 고전소설의 일반적 공식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30여 종의 조류들이 각기 관직을 가지고 등장하는데, 이들의 성격이 저마다 적절하게 의인화되어 있다. 
보라매는 관속과 결탁하여 시비를 분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임금이다. 권력의 그늘에서 뇌물을 즐기는 책방 구진, 비둘기 처가 사촌이라 아양 떠는 앵무새 등이 잘 성격화되어 있다. 악한 비둘기에게 원수를 갚고 죽은 까치낭군을 만나 자손을 잇는 구성법은 동물세계의 정의와 사랑을 인간사회에 비겨 풍자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당시의 탐관오리와 토호들이 결탁하여 선량한 백성들을 죽이고 착취하는 사회상을 그린 세태풍자소설이라 할 수 있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1년 ebs수능완성
2011년 ebs인터넷수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