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 해석 해설

by bloggermin2 2023. 5. 26.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고대가요.향가 중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대가요.향가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임금의 강림기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 [1]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 해석 해설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 해석 해설입니다.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

작자 미상의 고대가요, 구지가(龜旨歌)

구 간 등. 신라 유리왕19(42)년
龜何龜何(구하구하)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수기현야)         머리를 내어라
若不現也(약불현야)         내어 놓지 않으면
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     구워서 먹겠다

후한의 세조 광무제 건무 18년 임인 3월, 액을 덜기 위해 목욕하고 술을 마시던 계욕일에 그들이 사는 북쪽 구지(이는 산의 이름인데 열 붕새가 엎드린 모습이기 때문에 구지라고 불렀다.)에서 누군가를 부르는 이상한 소리가 들려왔다. 2,3백 명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는데, 사람 소리는 있는 것 같으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여기에 사람이 있느냐?” 하는 말소리만 들렸다. 구간 등이 “우리들이 있습니다.”하자, “내가 있는 데가 어디냐?” 하였다. “구지입니다.” 하자, 또 “하늘이 내게 명하여 이곳에 나라를 세우고 임금이 되라 하시므로 여기에 왔으니, 너희는 이 봉우리의 흙을 파서 모으면서 노래하여라 하면서 춤을 추면 이것이 대왕을 맞이하면서 기뻐 날뛰는 것이라.” 하였다. 구간 등이 그 말대로 즐거이 노래하며 춤추다가 얼마 후 우러러보니 하늘에서 자주색 줄이 늘어져 땅에까지 닿았다. 줄 끝을 찾아보니 붉은 보자기에 금합을 싼 것이 있었다. 합을 열어보니 알 여섯 개가 있는데 태양처럼 황금빛으로 빛났다. 여러 사람들이 모두 놀라 기뻐하며 백 번 절하고 다시 싸서 아도간의 집으로 돌아갔다. 책상 위에 모셔 두고 흩어졌다가 12일쯤 지나 그 다음날 아침에 사람들이 다시 모여 합을 열어보니 알 여섯 개가 모두 남자로 변하였고, 용모가 매우 거룩하였다. 이어 의자에 앉히고 공손히 하례하였다.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

핵심정리
▶연대 : 가락국 건국 시기 (A.D. 42)
▶갈래 : 주술가 한역가 서사시
▶성격 : 주술적, 집단적, 직서적, 제의(祭儀)적, 원시 종교 의식, 동물 숭배 사상, 배경 설화 존재, 가락 건국 신화로서 수로(首露)왕을 맞이하는 노래, 궁극적으로 소망의 성취
▶주제 : 신군의 출현 기원
▶의의 : ①현전 최고(最古)의 집단 무요(舞謠) ② 주술성(呪術性)을 지닌 현전 최고의 노동요(勞動謠)     
▶특징
대상을 부르고 대상에게 명령을 함
상황을 가정하고 대상을 위협하는 구조임
직설적이고 명령적인 어조를 사용함
노동요적인 성격과 집단적 가무의 성격을 지님

이해와 감상
구지가의 내용은 일견해서 동요(童謠)와 다를 바 없다. 구간(九干)을 포함한 수백 명의 군중이 구지봉 산꼭대기에 모여 임금을 맞이하기 위해 흙을 파헤치며 목청껏 불렀을 것이다. 그 우렁찬 대합창이 메아리쳐 울렸을 것을 생각해 보면 고대인(古代人)들의 집단 가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신화 속의 이야기이지만 당시의 사람들은 이와 같은 군중의 합창에는 주술력(呪術力)이 있다고 믿었고, 과연 하늘로부터 임금을 맞았다. 이 노래에서 거북을 내세운 것은 무슨 뜻인지 학자에 따라 그 설이 분분하다. 대체로는 신령스러운 존재로 보고 있다. 거북과 용은 설화에서 혼용되었고, 또 고대 민족은 이를 원시적 신성관념(神聖觀念)의 타부로 믿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 노래는 그대로 영신군가(迎神君歌)로서의 주술요(呪術謠)라 할 것이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이 흙을 파면서 불렀다는 점을 주목해 본다면 그것은 노동의 괴로움을 덜고자 하는 생각에서 나온 것일 것이므로 노동요(勞動謠)의 성격도 지닌다. 
이 노래의 아류(亞流)로 해가(海歌)가 있다. 구지가를 신군(神君)맞이의 주술요라 한다면 하가는 재액(災厄)극복의 주술요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이나 대상은 다르다 하더라도 결국 소원을 빌어 성취했다는 점과 집단 가무였다는 점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해가는 구지가를 수로부인(水路夫人)의 경우에 알맞게 변용한 것이다. 이는 위하적(威嚇的)인 주술요의 어떤 한 틀, 곧
거북아, 거북아, /........하라 / .......않으면, / 구워 먹으리
가 오랜 세월 일반에 널리 관용(慣用)외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력(呪力)이 미치는 대상이 거북이든 용이든 그 대상을 위하(威嚇)하는 노래를 불러야 할 때는 그 경우에 맞게 내용을 보완해서 집단적으로 가창했었을 것이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9년 ebs수능특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