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설화.가전.소설 중 작자미상의 고전소설 최충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설화.가전.소설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영웅, 민족적우월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작자미상의 고전소설 최충전
작자미상의 고전소설 최충전 해석 해설
작자미상의 고전소설 최충전 해석 해설입니다.
작자 미상의 소설, 최충전
줄거리
한문본과 국문본의 줄거리는 비슷하나, 그 표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주인공 최고운이 태어나자 그의 부모는 금돼지의 새끼로 잘못 알고 내다 버리지만, 선녀와 연꽃 및 백조들이 아기를 돌보는 기적이 나타나자 다시 데려다가 키워 학문과 문장으로 크게 떨치게 된다.
하루는 중국 황제가 들으니 시 읊는 소리가 하도 낭랑하여 알아보게 한 즉, 그것은 신라에서 들려오는 것이었다. 즉시 신하를 신라로 보내어 알아보았더니, 신라에는 재사가 수백 명이나 된다는 보고에 황제는 신라 석함(石函)에 달걀을 넣고 초로 밀봉한 다음 다시 신하를 시켜 석함 속의 물건을 시로 지어 보내지 않으면 대국(大國)을 가볍게 본 죄로 다스리겠다고 위협하였다.
이에 최고운이
團團石物中 단단석물중
半白半黃金 반백반황금
夜夜知時鳴 야야지시명
含情未吐音 함정미토음
이라 하여, 이미 그 내용물인 달걀이 병아리가 되었음을 작시(作詩)해 보내니 탄복한 황제는 최고운을 중국에 초빙한다. 중국에서 장원급제한 그는 황소(黃巢)의 난이 일어나자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지어 적장의 간담을 서늘케 하고 마침내 난을 다스리니 황제는 더욱 감탄한다. 그러나 이를 시기한 중국인 신하들의 모함으로 외딴 섬에 유배되어 몇 차례의 위기를 도술로 모면한 뒤 무사히 신라로 돌아오고, 왕은 그에게 벼슬을 주었으나 끝내 사양하고 가야산(伽倻山)에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
핵심정리
▶작자 연대 : 미상
▶형식 : 고전 소설, 전기체의 소설
▶성격 : 영웅적, 도술적, 설화적
▶주제 : 최치원의 영웅적 면모와 민족적 우월감
▶특징
허구적 상상력을 통해 역사적 인물을 영웅적으로 형상화함.
적강, 기아, 글재주 다툼, 알아맞히기 등 다양한 화소를 바탕으로 함.
당나라에 대한 최치원의 저항과 공격, 승리를 통해 민족의 우월성을 드러냄.
조선시대의 많은 군담소설(軍談小說)이 전쟁을 소재로 하여 민족의 영웅을 창조하고 있음에 반해, 이 작품은 우리 민족의 뛰어난 문재(文才)를 과시하기 위한 의도가 역력한 점이 큰 특색이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최치원의 일생을 허구적으로 형상화한 소설로, 영웅의 일생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영웅 소설에 속한다. 신라 말기의 역사적인 인물로서 뛰어난 글재주를 지니고 범상치 않은 삶을 살았던 최치원의 일생에서 파생된 여러 설화들을 엮어서 소설화한 것이다. 최충은 최치원의 아버지이다.
<추가>
작자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문본과 한글본, 필사본과 활자본이 있다. 한문본으로는 최고운전과 최문헌전과 한글본으로는 최충전과 최고운전이 전하고 있으나, 한문본이 앞선 본이다. 한글본 최충전은 한문본 최고운전, 대제각 영인본계의 번역 개작이고, 한글본 최고운전은 신소설조로 된 개작이다. 이 작품은 최치원(崔致遠)의 일생을 허구적 구성을 통하여 형상화한 전기적 소설이다.
이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 때, 부임하는 신임현령마다 부인이 실종되는 문창에 현령으로 부임한 최충은 미리 부인의 손에 명주실을 매어 두었다가 부인이 실종되자 찾아 나선다. 실이 뒷산 바위틈으로 들어간 것을 확인한 최충은 부인을 잡고 있던 금돼지를 죽이고 부인을 구하여 온다.
그 후 부인이 아들 최치원을 낳자, 최충이 금돼지의 자식이라며 버렸더니, 선녀가 내려와 보호해 주고 천유(天儒)가 내려와 글을 가르친다. 치원의 글 읽는 소리가 중국의 황제에게까지 들리자 황제가 두 학사를 보내 글을 겨루게 하나 치원을 당하지 못하고 두 학사는 중국으로 돌아간다.
황제는 함 속에 물건을 넣어 신라에 보내며 맞히지 못하면 공격할 것이라고 협박한다. 치원은 함 속의 물건을 맞히면 벼슬과 땅을 나누어 주겠다는 임금의 명령과 승상 나업의 딸 운영이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서울로 올라가 운영의 종이 된다. 치원은 나업에게 물건을 맞히면 자신을 사위로 삼아달라고 하여 허락을 받고 그것이 계란에서 병아리가 된 것임을 맞힌다.
황제가 물건 맞춘 인재를 중국으로 들여 보내라고 하자 치원은 중국으로 간다. 도중에 용자(龍子) 이목(李牧)을 만나고, 늙은 할미를 만난 후 그의 지시로 아름다운 여인을 만나 부적 세개를 얻는다. 중국에서 치원은 모든 재주 겨루기에서 부적 등을 이용하여 이기고, 과거에도 급제한다. 마침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문장으로 항복을 받는다.
그러나 치원을 질투한 대신들의 모함으로 귀향 간다. 치원은 그곳에서 선유(仙遊)하다가 황제가 부르자 용으로 다리를 놓아 낙양에 돌아온다. 그 후 치원은 청사자를 타고 고국에 돌아와 백발이 된 아내를 소녀로 만들고 가족과 함께 가야산에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이 작품은 이른바 영웅의 일생이라고 하는 줄거리를 지니고 있는 영웅소설에 속하며, 적강(謫降) 기아(棄兒) 글재주 다툼, 알아맞히기, 기계(奇計) 등 전래의 다양한 화소(話素)들이 복합되어 있다. 설화화된 역사적 인물 최치원이 작가의 탁월한 상상력에 의하여 소설의 주인공으로 형상화된 것인데, 역사적 사실과 상당한 거리가 있음이 주목된다.
이 작품에는 금돼지의 최치원 어머니 납치, 늙은 할미(老姑)와 용의 아들인 이목과의 만남, 그들의 최치원에 대한 뒷바라지, 최치원과 선녀와의 노래 등 민담적 요소와 전설적 요소, 그리고 신화적인 요소가 꽤 많이 수용되어 있다. 이 소설은 당나라에 대한 최치원의 저항, 공격, 승리를 통하여 우리 민족의 우월성을 드러내고, 북방민족에게 당하는 시달림을 정신적으로 극복, 보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것은 작품의 일면이요 일부일 뿐, 전면 혹은 전부는 아니다. 이 작품에는 외관상 혹은 형식상의 관계에서와는 달리, 실질적인 면에서는 임금보다는 신하가, 관리보다는 백성이, 그리고 주인보다는 종이 더 우월한 존재로, 또한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혹은 아버지보다는 그 아들이나 딸이,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우월한 존재로, 그리고 중국의 선비보다는 신라의 선비가 더 우월한 존재로 그려져 있어서 흥미롭다.
최고운전은 강대한 것과 약소한 것과의 형식적 관계와 내용적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이 당시의 실상임을 보여줌으로써 존재와 당위가 무엇인가를 시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즉, 한결같이 명분, 체면, 나이, 권위, 신분, 형식 등을 내세워 서사적 자아를 억압하는 세계의 부당한 횡포를 비판하고 고발함으로써 당대 중세적 질서의 위기를 문제삼고 있는 소설이다.
더 알아보기
▲최고운전
출제목록
2016년 ebs 수능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