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시조.가사 중 이정환의 시조 비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조.가사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국치에 대한 비분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정환의 시조 비가
이정환의 시조 비가 해석 해설
이정환의 시조 비가 해석 해설입니다.
이정환의 시조, 비가
이정환의 시조, 비가(悲歌)
1.
반(半) 밤중 혼자 일어 묻노라 이내 꿈아
만 리(萬里) 요양(遼陽)*을 어느덧 닫녀온고
반갑다 학가 선용(鶴駕仙容) 학가선용 : 수레를 탄 왕자의 모습
*을 친히 뵌 듯여라 ▶청나라에 볼모로 있는 두 왕자를 그리워함.
2.
풍설 섞어 친 날에 묻노라 북래사자(北來使者)*
소해용안(小海容顔)*이 얼마나 추우신고
고국(故國)의 못 죽는 고신(孤臣)이 눈물겨워 노라 ▶두 왕자에 대한 걱정과 국치로 인한 슬픔
3.
후생이 죽은 후이니 항우를 누가 달랠 것인가.
초나라 군사 된지 삼 년에 고생이 한량없다.
어느때나 한일(한나라 세상)이 밝아 강태공과 같은 현신(賢臣)이 나오게 할 것인가?
4.
박제상* 죽은 후에 님의 시름 알 이 없다
이역 춘궁(異域春宮)*을 뉘라서 모셔 오리
지금에 치술령 귀혼(歸魂)을 못내 슬허노라 ▶두 왕자를 모셔 오지 못하는, 신하로서의 불충과 개탄
5
모구를 돌아보니 위나라 사람 알리 없다.
세월이 빠르게 흐르니 칡넝쿨이 길어졌구나
이 몸의 헤어진 갗옷을 기워줄 사람이 없도다.
6.
조정을 바라보니 무신들이 많기도 하구나.
어렵고 치욕스러운 화친은 누구를 위해 한 것인가?
슬프다. 조구리가 이미 죽었으니 참승할 사람이 없구나.
7
구중궁궐 달 밝은 밤에 우리 임금의 근심이 정말 많으리니
멀리 오랑캐 땅의 왕자를 잊을쏘냐.
그 외에도 억만창생 백성들을 못내 걱정하시는구나. ▶근심하는 임금에 대한 염려
8
구렁에 났는 풀이 봄비에 절로 길어
아는 일 없으니 긔 아니 좋을쏘냐
우리는 너희만 못야 시름겨워 노라 ▶국치를 당한 데 대한 비분과 시름
9
조그만 이 한 몸이 하늘밖에 떨어지니
오색 구름 깊어진 곳 어디가 서울인가?
바람에 이리저리 구르는 검불같이 갈길 몰라 하노라. ▶나라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삶에 대한 한탄
10
이것아 어린것아 잡말 마라스라
칠실(漆室)의 비가(悲歌)*를 뉘라서 슬퍼하리
어디서 탁주 한 잔 얻어 이 시름 풀까 노라 ▶술로 달래는 시름
* 요양: 청나라의 심양.
* 학가 선용: 왕자.
* 북래사자: 북쪽에서 온 사자. 여기서는 바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 소해용안: 왕자의 모습.
* 박제상: 신라 때의 충신으로, 볼모로 일본에 잡혀간 왕의 아우를 귀국시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함. 부인은 박제상을 기다리다가 치술령에서 망부석이 되었다고 함.
* 이역 춘궁: 청나라의 궁궐에 갇혀 있는 조선의 왕자.
* 칠실의 비가: 칠실은 중국 노나라의 고을로서 그곳의 여자가 나라의 우환을 생각하고 군신·부자가 모두 욕을 당했는데 어찌 홀로 피하겠느냐며 슬퍼했다는 고사가 전함.
핵심정리
▶연대 : 조선 인조 때
▶갈래 : 평시조, 연시조, 정형시
▶운율 : 3.4.4. 4음보
▶성격 : 우국적
▶제재 : 병자호란의 국치
▶주제 : 병자호란의 국치에 대한 비분
이해와 감상
병자호란 때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나라 태종에게 항복하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두 왕자와 왕자 대신들이 볼모로 잡혀간 데 대한 비분강개의 심정과 왕세자를 비롯해 잡혀 간 사람들의 안위를 걱정하는 노래이다. 전 10수로 된 연시조로 원래 제목은 국치비가(國恥悲歌)이다. 병자호란을 내용으로 한 연시조 형식의 유일한 작품인 이 시조는, 한 밤중에 꿈에 깨어 혼자 일어나 청에 볼모로 잡혀 간 소현세자의 학가선용을 만나고 온 이야기의 술회로 첫째 수가 시작된다. 지은이는 이 시조의 각 수의 뒤에 자신의 한역시(漢譯詩)를 붙였는데 한결같이 5언 6구의 직역시로 되어 있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8년 대수능출제
2017년 ebs 수능완성
2015년 ebs 인터넷수능 92 보기
2014년 ebs 수능완성 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