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설화.가전.소설 중 설총의 설화 화왕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설화.가전.소설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임금에 대한 경계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설총의 설화 화왕계
설총의 설화 화왕계 해석 해설
설총의 설화 화왕계 해석 해설입니다.
설총의 설화, 화왕계
설총의 설화, 화왕계(花王戒)
신이 이야기를 하나를 전해 드리겠습니다. 옛적에 화왕이 처음으로 오자, 이를 꽃동산에 심고 장막을 둘러 보호하였더니, 봄철을 당하여 어여쁘게 피어 백화를 능가하여, 홀로 뛰어났습니다. 이에 가까운 곳 먼 곳에서 곱고 어여쁜 꽃들이 분주히 와서 화왕을 뵈려고 애를 쓰던 차에, 홀연히 한 가인이 붉은 얼굴과 옥 같은 이에 곱게 화장하고 맵시 있는 옷을 입고 갸우뚱거리며 와서 얌전히 앞으로 나와 말하기를, “첩은 눈같이 흰 모래밭을 밟고, 거울처럼 맑은 바닷물을 대하고 봄비로 목욕하여 때를 씻고, 맑은 바람을 시원타 하고 제대로 지내는데, 이름은 장미라 합니다. 왕의 착하신 덕망을 듣고 향기로운 장막 속에서 하룻밤을 모시려고 하오니, 왕께서는 저를 허락하시겠습니까?” 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한 장부가 있어, 베옷에 가죽띠를 띠고 흰머리에 지팡이를 짚고 늙고 병든 것처럼 걸으면서 허리를 구부리고 나와 말하기를 “나는 경성 밖 큰길가에 살고 있는데, 아래로는 푸르고 넓은 야경을 내려다 보고, 위로는 높디높은 산색을 의지하고 있으며, 이름은 백두옹이라 합니다. 생각하옵건대, 주위에 거느리고 있는 자들이 제공하는 물품이 비록 풍족하여 맛있는 음식으로 배를 채우고 차와 술로 정신을 맑게 하여도, 비단으로 싼 상자에 쌓아 둔 것들 중에는 반드시 기운을 보충할 좋은 약과 독을 없앨 아픈 침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비록 명주실과 삼[麻]실과 같이 좋은 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골풀과 누런 띠처럼 거친 것을 버릴 수 없고, 무릇 모든 군자들은 궁할 때를 대비하지 않음이 없다고 하는데, 왕께서도 또한 뜻이 있으신지 모르겠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어떤 이가 말하기를 “이렇게 두 사람이 왔는데, 그중 어느 것을 취하고 어느 것을 버리시겠습니까?”라고 하니, 화왕이 가로되 “장부의 말에도 또한 도리가 있지만, 미인은 얻기가 어려우니 이를 어찌하면 좋을까?”라고 하였습니다. 장부가 나와 말하기를 “나는 왕이 총명하여 사리를 아시는 줄로 알고 왔더니, 지금 보니 그게 아닙니다. 무릇 임금된 자로서 간사하고 아첨하는 자를 친근히 하고, 정직한 자를 멀리하지 않음이 드뭅니다. 이런 까닭에 맹가(孟軻)*가 불우하게 일생을 마쳤고, 풍당(馮唐)*은 중랑서장(中郎署長) 벼슬을 하면서 백발이 되었습니다. 옛날부터 이와 같았으니 제가 이를 어찌하겠습니까?”라고 하자 화왕이 “내가 잘못하였구나! 내가 잘못하였구나!”라고 하였답니다.
* 맹가 : 맹자.
* 풍당 : 한나라 때 사람으로 중랑서장의 벼슬에 올랐으며, 직언을 잘하기로 유명하였다.
* 화왕 : 꽃 중의 왕이라 하여 모란을 이르는 말
* 삼촌가절 : 봄 석달 중의 가장 좋은 때 즉 음력 3월
* 유유자적(悠悠自適) : 속세를 떠나 아무것에도 속박되지 않고 자기하고 싶은 대로 조용하고 편안히 생활하는 일
* 가인 : 아름다운 여자
* 무희 : 춤추는 여자
* 백두옹 : 할미꽃
* 고량 : 고량진미(膏粱珍味)의 준말로 기름진 고기와 맛있는 음식
* 수라상 : 임금의 진짓상
* 고리짝 : 옷을 담는 상자의 하나로 고리나 대오리로 엮어서 만든 큰 상자
* 양약 : 매우 효험이 있는 약
* 극약 : 위험을 주는 약
* 사마 : 명주실과 삼실
* 관괴 : 관과 괴 둘 다 풀이름, 관은 도롱이와 삿갓을, 괴는 돗자리를 짜는 원료로 일종의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정신을 나타낸 말이다.
* 풍당 : 한나라 안릉 사람. 어진 인재였으나 벼슬이 낭관에 그쳤음.
핵심정리
▶지은이 : 설총
▶갈래 : 설화(서사)
▶성격 : 의인체 설화, 교훈적
▶내용 : 왕은 간사하고 요망한 자를 멀리하고, 정직한 자를 가까이 해야 한다.
▶문체 : 역어체, 설화체
▶제재 : 꽃
▶주제 : 임금에 대한 경계
▶의의 : ①우리 나라 최초의 창작 설화 ②고려 시대 가전체에 영향 ③의인문화의 형성 가능성을 보여 줌.
▶특징
장미와 백두옹이라는 의인화된 소재를 대조하여 충신이 등용되는 이상이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사회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붉은 얼굴과 옥 같은 과 베옷을 입고 허리에는 과 같은 외양 묘사가 나타나고 있다.
공간적 배경에 대한 감각적 묘사가 나타나고 있다.
의인화된 자연물이 나타나고 있다.
구성
▶발단 : 화왕의 등장
▶전개 : 간신 장미와 충신 백두옹의 간청
▶절정 : 장미와 백두옹 사이에서 갈등하는 화왕
▶결말 : 백두옹의 설득과 화왕의 뉘우침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꽃을 의인화하여 쓴 서사문학 작품으로는 최초의 것이다. 이처럼 사물을 의인화 한 작품을 만드는 전통은 고려 시대의 가전문학으로 이어지고, 조선 시대에 이르면 심성을 의인화한 소설로 동물을 의인화한 소설 등으로 발전적인 변모를 하게 된다. 조선 시대에 나온 꽃을 의인화한 대표적인 소설로는 화사(花史)를 들 수 있다. 하여간 이 작품은 식물을 의인화해서 사람의 처신을 말함으로써 문학적 표현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여 후대에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의인 설화로서 문학적인 가치가 있다.
백두옹으로 자처하는 인물이 화왕 앞에 나타나서, 그 동안의 생활 태도를 바꾸어야 한다고 충간한 말은 깊이 새겨야 할 뜻을 담고 있다. 서울 밖 한길가에 산다고 하면서 자연의 경치를 말한 데서는 선비의 고결한 품성에 관한 은근한 자부심이 나타나있다. 즉, 화려한 서울을 벗어나 있기 때문에 마음의 바른 도리를 알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임금에게 하는 말은 부귀만 누리며 만족할 것이 아니라 원기를 돋우고 독을 제거하는 약이 또한 필요한 줄을 알아야 한다는 것인데, 그 약이야말로 백두옹이 제시해 줄 수 있는 마음의 바른 도리이다.
설총은 이런 구실을 하는 백두옹으로 자처하고자 했고, 신문왕은 또 그 점을 인정했다.
더 알아보기
▶화왕계·화사·화왕전의 비교
1. 화왕계를 화사와 화왕전과 비교해 보면, 꽃에 인성(人性)을 부여하여 의인화(擬人化)한 수법과 군주를 주인공으로 풍간(諷諫)한 유사성을 제외하고는 모든 것이 판이하다. 이러한 의인화 수법은 한유의 모영전을 비롯해 당·송의 가전과 고려 가전체에 나타난다.
2. 화사는 꽃을 국가 군신에 비유하고, 중국의 역사를 본떠서 한(漢)나라의 흥망 성쇠를 논했다. 당시 정치, 사회상을 비판하고, 제왕의 치국(治國)사상을 보인 정치 비평 소설이다. 제왕의 흥성에 보좌하는 신하의 충절이 있으면 왕업이 창성하게 된다는 교훈을 나타내고 있다.
3. 화왕전은 화사에 비해 직·간접표현법과 성격 묘사, 갈등과 대립으로 인한 흥미 유발 등으로 보아 소설로서 한발 나아간 구조이다. 제왕이 호사 호색에 빠져 충간을 듣지 않으면 나라가 망한다는 것으로 군주의 치국 사상에 경계가 되는 교훈적인 작품이다.
출제목록
2021년 ebs수능특강
2017년 ebs수능특강
민중서림 독서교과서 p25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