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상의 판소리 토별가(수궁가) 해석 해설

by bloggermin2 2023. 6. 1.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민요.무가.판소리 중  미상의 판소리 토별가(수궁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민요.무가.판소리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무능왕권비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미상의 판소리 토별가(수궁가)

미상의 판소리 토별가(수궁가)

 

 

 미상의 판소리 토별가(수궁가) 해석 해설

 미상의 판소리 토별가(수궁가) 해석 해설입니다.







미상의 판소리, 토별가(수궁가)




작자 미상의 판소리 사설, 수궁가   
작자 미상의 판소리 사설, 수궁가   

줄거리
남해(南海)용왕이 갑자기 병으로 눕게 된다. 백약이 다 무효한데 토끼의 간이 신약이라고 하여 누가 가서 토끼를 잡아오느냐를 논의하던 중, 문어와 별주부가 다투다가 결국 별주부가 이겨 육지로 향하여 떠난다. 멀리 산과 나무가 보이자 별주부는 토끼를 우혹할 궁리를 한다. 별주부는 결국 토끼를 유혹하여 용궁으로 데려와 용왕님께 바친다. 용왕은 기뻐하여 별주부에게 후하게 상을 주고 토끼의 간을 가르려고 할 때에 토끼는 잠깐 멈추라고 간곡히 말한다. 그 말에 용왕이 별주부를 시키어 토끼의 간을 빨리 가져오라고 하며 토끼와 같이 육지로 보낸다. 육지에 이르자 토끼는 별주부의 소행을 괘씸하다고 생각하나 분(墳)을 참고 주부의 자는 죄를 용서하며 왕의 병에 신약이라는 자신의 토분(兎糞)과 함께 별주부를 용궁에 돌려보낸다. 그리고 주부는 용왕의 병을 낫게 하여 충신이 되고 토끼는 신선을 따라서 월궁(月宮)으로 올라간다.

핵심정리
▶갈래 : 판소리 사설
▶문체 : 가사체, 구어체, 운문체
▶제재 : 토끼의 간
▶의의 : 근원설화(구토지설)→판소리(수궁가)→소설(별주부전)→신소설(토의 간)의 계보를 갖는다.
▶주제 : 표면적 주제는 허욕에 대한 경계와 어려움을 벗어나는 지혜이지만, 이면적 주제는 무능한 왕권(지배층)에 대한 비판이다.
▶특징
우화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인물과 상황에 대한 서술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나타나 있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에서 용왕을 중심으로 하는 수궁 세계는 정치 지배의 관료층을, 토끼를 중심으로 하는 육지세계는 서민 피지배 계층을 각각 반영한다. 주색에 빠져 병이 들어 어리석게도 토끼에게 속아 넘어가는 용왕과 어전에서 싸움만 하고 있는 수궁대신들은 당시 부패하고 무능한 정치 사회의 인물들을 투영한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일시적으로 호강의 유혹에 넘어가 위기에 처했다가 살아나는 토끼에게서 서민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용왕을 기만하고 수궁의 충신 자라를 우롱하면서 최후의 승리를 얻는 작품의 결말은 토끼가 작자층을 대변하는 존재임을 잘 나타내 준다. 즉, 이 작품은 원래 허욕에 대한 경계를 주제로 삼고 있으나 당대 조선 사회에 대한 풍자, 인간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이 밑바닥에 깔려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추가>
이 작품은 신재효가 개작하여 정착시킨 판소리 작품의 하나로 <토끼타령>, <별주부타령>,<수궁가>라고도 하며 <퇴별가>라는 이본도 있다. 용왕이 병이 들자 약에 쓸 토끼의 간을 구하기 위하여 별주부는 세상에 나와 토끼를 꾀어 용궁으로 데리고 간다. 그러나 토끼는 꾀를 내어 용왕을 속이고 살아 돌아온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이본 중에는 용궁에 잡혀 온 토끼를 동정적인 관점에서 서술하고 별주부의 아내가 우직한 남편보다 영리하고 멋진 토끼에게 애정을 표시하게 되는 것도 있으나 신재효의 <토별가>는 충성스러운 별주부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서술하고 이에 걸맞게 그의 아내도 정숙하게 형상화하고 있어 다른 개작의 방향을 보여준다. 이것은 유교적 이념 구현에 충실하려는 그의 가치관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별주부가 토끼를 찾으러 산중의 짐승이 모인 모족회의(毛族會議)에 끼어드는 부부에서는 신재효의 현실인식 태도가 반영되어 있다. 지방수령을 호랑이에 비유하고 아전을 사냥개에 비유하며 멧돼지와 다람쥐를 백성에게 비유하고 있는 부분은, 약육강식이라는 생태계 현상을 사회적 착취관계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선조 후기의 현실을 날카롭게 파악한 신채효의 현실인식을 잘 보여준다. 이것은 지배이념을 긍정하지만, 사회현실의 모순은 비판하려는 의식의 양면성이 빚어낸 결과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이 작품은 우직하고 충성스러운 별주부와 영악하고 뛰어난 기지로 위험을 이겨내는 토끼의 행위를 대비시키면서 나아가 권력의 횡포를 비판하고 풍자하고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연구문제
1. 토끼와 별주부의 각각의 행위를 중심으로 이 작품의 주제를 파악해 보라
▶별주부의 행위를 중심으로 볼 때 이 작품의 주제는 국가적 위기에 처하여 보여주는 신하의 강직한 희생정신과 충성심이라 할 수 있고, 토끼의 행위를 중심으로 보면 영악하고 뛰어난 기지로 위험을 이겨내는 지혜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2. 이 작품에서는 이면적으로 당시 권력층의 어떤 모습을 제시하여 비판하고 있는가?
▶개인적 안위와 영달을 위해 서민을 착취하는 권력층의 부당한 횡포

더 알아보기
▲토별가의 등장인물과 당대 사회와의 관계
이 작품은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토끼를 꾀어 용궁으로 데려가지만, 토끼가 기지를 발휘하여 용궁을 탈출한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병든 용왕은 조선의 지배체제가 위기 상황에 있음을 비유하는 한편, 지배층의 횡포를 보여 주는 인물이다. 자라는 임금에게 절대적 충성을 보여 주는 인물을 비유하고 토끼는 피지배 계층인 서민의 전형적인 모습에 해당한다. 이 작품을 통해 당대 조선 사회를 보면, 봉건 사회의 무능과 횡포에 대한 풍자, 인간의 허욕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제목록
2019년 ebs 수능특강
2015년 ebs 수능특강
2013년 ebs인터넷수능a
2009년 6월 평가원 모의수능
2014년 1학년 11월 전국연합
2002년 1학년 11월 전국연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