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창협의 한시 착빙행 해석 해설

by bloggermin2 2023. 3. 21.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악장.언해.한시 중  김창협의 한시 착빙행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악장.언해.한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부조리한 사회고발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창협의 한시 착빙행

김창협의 한시 착빙행

 

김창협의 한시, 착빙행

김창협의 한시, 착빙행(鑿氷行) 얼음 뜨는 자들을 위한 노래 1651(효종 2)~1708년(숙종 34)] 

季冬江漢氷始壯 (계동강한빙시장)  늦가을 한강가에 얼음이 꽁꽁 어니 
千人萬人出江上 (천인만인출강상)  사람들 우글우글 강가로 나왔네. 
丁丁斧斤亂相鑿 (정정부근난상착)  꽝꽝 도끼로 얼음을 찍어내니 
隱隱下侵馮夷國 (은은하침풍이국)  울리는 소리가 용궁까지 들리겠네. 
鑿出層氷似雪山 (착출층빙사설산)  찍어낸 얼음이 설산처럼 쌓이니 
積陰凜凜逼人寒 (적음늠늠핍인한)  싸늘한 얼음이 사람을 엄습하네. 
朝朝背負入凌陰 (조조배부입능음)  낮이면 날마다 석빙고로 져 나르고 
夜夜椎鑿集江心 (야야추착집강심)  밤이면 밤마다 얼음을 파 들어가네. 
晝短夜長夜未休 (주단야장야미휴)  해짧은 겨울에 밤늦도록 일을 하니 
勞歌相應在中洲 (노가상응재중주)  노동요 노랫소리 모래톱에 이어지네. 
短衣至?足無扉 (단의지한족무비)  짧은 옷 맨발은 얼음 위에 얼어붙고 
江上嚴風欲墮指 (강상엄풍욕타지)  매서운 강바람에 언 손가락 떨어지려네. 
高堂六月盛炎蒸 (고당육월성염증)  고대광실 오뉴월 무더위 푹푹 찔 때 
美人素手傳淸氷 (미인소수전청빙)  여인의 하얀 손이 맑은 얼음 내어오네. 
鸞刀擊碎四座? (난도격쇄사좌편)  그 얼음 깨, 자리에 두루 돌리니, 
空浬白日流素霰 (공리백일류소산)  멀건 대낮에 하얀 안개가 피어나네. 
滿堂歡樂不知暑 (만당환락부지서)  왁자지껄 이 양반들 더위를 모르고 사니 
誰言鑿氷此勞苦 (수언착빙차로고)  얼음 뜨는 그 고생을 그 누가 알아주리. 
君不見 (군불견)  그대는 보지 못 하는가 
道傍?死民 (도방갈사민)  길가에 더위 먹고 죽어 뒹구는 백성들이 
多是江中鑿氷人 (다시강중착빙인)  대개 강 위에서 얼음 뜨던 자들인 것을. 

내용풀이
늦겨울 한강에 얼음이 꽁꽁 어니
사람들(얼음을 채취하기 위해 차출된 인부들) 우글우글 강가로 나왔네.
꽝꽝 도끼로 얼음을 찍어내니
울리는 소리가 용궁까지 들리겠네.
찍어 낸 얼음이 산처럼 쌓이니
싸늘한 음기가 사람을 엄습하네.
낮이면 낮마다 석빙고(신라 때부터 얼음을 넣어 두던 창고)로 져 나르고
밤이면 밤마다 얼음을 파 들어가네.
해 짧은 겨울에 밤늦도록 일을 하니
노동요 노랫소리 모래톱(모래사장)에 이어지네.
짧은 옷 맨발은 얼음 위에 얼어붙고
매서운 강바람에 언 손가락 떨어지네.(양반들의 호사를 위해 고통받는 백성들의 처지가 드러남 / 얼음을 채취하는 부역에 시달리는 백성들)
고대광실(매우 크고 좋은 집) 오뉴월 무더위 푹푹 찌는 날에
여인의 하얀 손(백성들의 언 손가락과 대조됨)이 맑은 얼음을 내어 오네.
난도(자루에 난새(상상의 새) 모양의 방울을 단 칼)로 그 얼음 깨 자리에 두루 돌리니
멀건 대낮에 하얀 안개가 피어나네.(무더위 속에서 얼음을 즐기는 양반들)
왁자지껄 이 양반들 더위를 모르고 사니
얼음 뜨는 그 고생을 그 누가 알아주리.
그대는 못 보았나?
길가에 더위 먹고 죽어 뒹구는 백성들이
지난 겨울 강 위에서 얼음 뜨던 자들인 걸.(얼음을 채취한 백성과 더위 먹고 죽은 백성을 동일한 인물로 설정하여 극적 효과를 높이면서 부조리한 현실과 사회의 모순에 대한 개탄)

핵심정리
▶갈래 : 한시
▶성격 : 사실적, 관찰적, 고발적, 비판적
▶주제 : 부조리한 현실과 사회 고발

이해와 감상
추운 겨울날 얼음으르 채취하는 부역에 시달리는 백성들과 무더위 속에서 얼음을 즐기는 양반들의 모습을 대조하여 고통받는 백성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드러낸 작품이다. 시의 전반부에서는 겨울날 백성들이 짧은 옷을 입고 맨발로 얼음을 채취하는 모습을, 후반부에서는 더운 여름날 시원한 전각에 앉아 얼음을 즐기는 양반들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노동하는 사람 따로, 노동의 결과를 향유하는 사람 따로인 사회의 모순을 제시하여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고통받는 백성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추가>
조선시대에는 겨울에 강에 언 얼음을 떼어다가 석빙고에 저장을 했습니다. 얼음을 떼어내는 일은 부역으로 차출된 사람들 몫이었지요. 조정에서 날을 잡아서 부역꾼들을 동원하여 몇날 며칠을 쉬지 않고 얼음을 떼어냈습니다. 허름한 반바지 차림에 맨발로 얼음 위에서 얼음을 파냈습니다. 매서운 겨울바람에 손가락이 다 떨어질 듯이 아팠습니다. 그 얼음을 석빙고로 져 날라서 여름에 쓰기 위해 저장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정작 한여름이 되면 그 얼음을 잡수시는 양반들은 대개 조정의 높은 벼슬아치들인 것입니다. 섬섬옥수 예쁜 여인네들을 옆에 끼고 앉아 그 투명한 얼음을 입에 넣고 찌는 듯한 여름에도 더위를 모르고 살아갑니다. 길가에는 굶주리고 병이 들거나 더위 먹어 죽은 백성들의 시체가 있습니다. 죽은 그 백성은 지난겨울 맨발로 얼음 위에서 부역하던 사람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