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설화.가전.소설 중 김시습의 고전소설 금오신화 남염부주지 [6]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설화.가전.소설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유교이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시습의 고전소설 금오신화 남염부주지 [6]
김시습의 고전소설 금오신화 남염부주지 [6] 해석 해설
김시습의 고전소설 금오신화 남염부주지 [6] 해석 해설입니다.
김시습의 고전소설 금오신화 남염부주지
김시습의 고전소설, 금오김시습의 고전소설, 금오신화 중 남염부주지
줄거리
박생이 하루는 주역을 읽다가 조는 사이에 염라국으로 들어간다. 비참한 지옥의 모습을 보고 놀란 박생은 수문장의 안내를 받아 염라왕의 앞으로 가서 후한 대접을 받고 염라왕과 문답을 전개한다. 끝에 가서 염라대왕은 천지이치에 통달한 그대에게 명국의 선위문을 내려줄 터이니 잠시 인간 세계를 다녀오라고 하였다. 그는 돌아오는 도중 깨어보니 침상일몽이었다. 그는 자기가 오래 살지 못할 줄 알고 날마다 가사를 정리하다가 수개월이 못가서 병이 들었다. 그는 의원과 무당을 물리치고 얼마 안가서 죽었다. 그런데 이웃 사람들은 그가 염라대왕이 되어 갔다는 꿈을 꾸었다 한다.
핵심 정리
▶연대 : 세조 때
▶형식 : 한문소설, 단편소설
▶문체 : 역어체
▶구성 : 문답식 구성
▶주제 : 유학자로서 선비가 지녀야 할 자세와 왕도정치의 이상
▶의의 :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로 조선 시대의 소설, 특히 한문 소설의 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출전 : 금오신화(金鰲新話)
등장인물
▶박생 : 유학에만 뜻을 둔 낙방거사로, 순박하고 온후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서의 박생은 당대의 지배적인 질서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지켜나가는 인물이다. 몽중의 박생은 세계와 화해하고 염라왕의 후계자가 된다. 세속적인 종교인 불교와 무속에 부정적이며, 주역에 입각한 일리론을 지어 이단의 유혹을 뿌리치기도 한다.
▶염라대왕 : 인간을 심판하는 염라국을 부정하고, 백성을 그릇 인도하는 왕의 횡포를 비판하는 인물이다. 박생의 지론에 동조하고 염라국의 국왕 자리를 박생에게 물려주는 점에서 우리의 통념과 거리가 멀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매월당의 사상, 곧 그의 종교관, 인생관이 가장 명쾌하게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우주를 달관하는 작자의 음양 귀신관을 비롯하여 군자와 소인의 구별, 위정자들의 정치적인 득실에까지 걸쳐 이를 정연하게 전개하였다. 주인공 박생은 불교의 부패를 통렬히 비판하는 유학자이지만, 결국 염라국의 왕위를 받는 역설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으나, 결국 귀신론에 있어서는 무신론이요, 유교는 정직하고 불교는 허망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작품에 나타난 염부주와 염왕은 작자가 자신의 사상이 타당한 것임을 입증해 보이기 위하여 설정한 가상적인 존재이다. 이것을 매개로 하여 그 타당성이 입증된 사상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유교가 불교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으로 그러한 주장에 곁들여 불교의 미신적 타락상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다. 유교사상은 주인공의 기본사상이자 작자의 기본입장이기도 하다. 둘째는 세계관에 관한 것으로 세계에는 현실세계만 존재할 뿐 천당, 지옥, 저승 같은 별세계가 존재할 수 없고 따라서 세상의 이치도 하나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즉 미신적, 신비주의적 세계관을 부정하고 현실적, 합리주의적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는 정치적인 견해로 폭력과 억압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자에 대하여, 백성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경고하는 내용이다. 이 같은 사상의 타당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그러한 사상에 투철한 유능한 인물을 받아들이지 않는 그릇된 세상을 은연중 비판하고 있다. 작자의 깊은 사상을 집약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나 사상을 밀도있게 다룬 최초의 소설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작품이다.
더 알아보기
▲사상적 배경
1. 작자는 염라왕의 입을 통하여 유교를 정도로 보고 불교를 사도로 보고 있으면서도 공자는 문물이 밝은 중화에서 낳아 군자가 따르기 쉽고, 석가는 간흉한 서역에서 낳아 그 법이 사하고 그 말이 허황하다. 서역의 간흉한 소인을 다스리는 데는 없어서는 안될 도라고 하여 불교의 필요성을 말하고 유교나 불교가 모두 최종의 목적은 정도에 나아가는 데에 있다고 하여 유불조화론을 펴고 있다.
2. 많은 비용을 들여 공불하고 설재(음식물을 마련하여 승려에게 공양함)하여 사자의 명복을 빌거나 속죄하는 세속적인 불교에 대하여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3. 염라왕의 말을 통해 유교적인 음양의 이론으로써 불교의 천당과 지옥을 부인하고 있다.
4. 귀신을 음양 이기의 조화로 정의하고 제사의 귀신과 조화의 귀신으로 구분하여 그 성격을 말하면서 귀신이 어떤 형체가 있어 함부로 인간의 화복을 가름하는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부질없이 귀신이 있다고 생각하여 미신을 믿고 행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5. 왕도와 패도의 다름을 말하면서 왕도를 고취하고 패도를 배격하고 있다. 이를 고금 제왕의 치란의 자취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제목의 의미
남염부주지는 주인공 박생이남염부주라는 곳에 다녀온 이야기이다.남염부주(南閻浮州)는 남쪽에 세게 타오르는 불이 항상 공중에 더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지옥에 해당한다. 남염부주는 박생이 꿈속에 들어와 염부주의 왕과 대화를 나누는 곳으로 그의 사상이나 신념 등이 펼쳐지는 이 작품의 중심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출제목록
2018년 수능특강
2014 인터넷수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