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권익륭의 시조 풍아별곡 해석 해설

by bloggermin2 2023. 3. 15.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시조.가사 중  권익륭의 시조 풍아별곡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조.가사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선비의 도리와 인생무상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권익륭의 시조 풍아별곡

권익륭의 시조 풍아별곡

 

권익륭(權益隆)의 시조, 풍아별곡(風雅別曲)

<제1곡>
풍아의 깁흔 뜻을 뎐하나니 긔 뉘신고
고됴를 됴하하나 아나니 전혀 업내
졍셩이 하 미망하니 다시 블너 보리라

풍아(風雅)의 깊은 뜻을 전하는 이 그가 뉘신고 
고조(古調)*를 좋아하나 아는 이 전혀 없네 
정성(正聲)*이 하 아득하니 다시 불러 보리라 

<제2곡>
내 말이 긔 어니 몰고 또 모라라
질고를 믈을지니 원습을 갈힐소냐
셩은이 지듕하시니 못갑흘가 하노라

<제3곡>
위의도 거룩하고 녜모도 너를시니
희학을 됴하하나 학하미 되올쇼냐
아마도 성덕지션을 못니즐가 하노라

위의(威儀)도 거룩하고 예모(禮貌)*도 넓을시고
해학을 좋아하나 가혹함이 되올소냐 
아마도 성덕지선(盛德至善)을 못 잊을까 하노라 

<제4곡>
좌상의 손이 잇고 준중의 술이 가득
듕심을 즐길지니 외모를 휘할소냐
덤음이 공쇼하시니 시측시효 하리라

좌상(座上)의 손이 있고 술통에 술이 가득 
중심(中心)*을 즐길지니 외모를 위할소냐 
덕음(德音)이 밝으시니 곧 반응이 나타나리라 


<제5곡>
이해 져므러시니 아니 놀고 어이하리
즐기믈 됴하하나 황함을 말지어다
아마도 직사기우야 긔냥샌가하노라

이 해 저물었으니 아니 놀고 어찌하리
즐김을 좋아하나 거칠음은 말지어다 
아마도 직사기우(職思其憂)*야 그가 어진 선비일까 하노라 

<제6곡>
두엇난 동고금슬 날노 즐겨 놀지어다
백년후 도라보오 화옥의 뉘 들소니
생젼의 다 즐기지 못하면 뉘웃츨가 하노라

두었던 종고금슬(鐘鼓琴瑟)* 날로 즐겨 놀지어다 
백년 후 돌아보오 화옥(華屋)*의 누가 들소니
생전에 다 즐기지 못하면 뉘우칠까 하노라 

*풍아 : 시문을 짓고 읊는 풍류의 이치. 
*고조 : 옛 곡조. 여기서는 옳은 소리를 담은 옛 곡조를 뜻함. 
*정성 : 옳은 소리. 또는 옳은 곡조의 음악. 
*예모 : 예절에 맞는 몸가짐. 
*중심 : 마음속. 
*직사기우 : 마땅히 그 근심을 생각함. 
*종고금슬 : 종, 북, 거문고, 비파. 
*화옥 : 화려하게 지은 집.

핵심정리
▶갈래 : 시조, 연시조
▶주제 : 선비의 도리와 인생무상
▶특징 : 대구의 형식을 사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이해와 감상
권익륭(權益隆)이 지은 연시조. 모두 6수로 되어 있으며, 수(首) 1수, 미(尾) 5수의 구성이다. 선비의 도리와 인생무상에 대하여 읊은 것으로, <고금가곡(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에 실려 있으며, 국문 시가 뒤에 각각 한역 시가 붙어 있다.


선비의 풍류와 문아(文雅)를 읊은 것으로, 생활의 행락(行樂)과 성은(聖恩)을 칭송한 노래이다. <고금가곡(古今歌曲)>에는 작자가 미상이나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에는 권익룡의 작품이라 기록되었다.


첫째 수에서는 고조(古調)와 정성(正聲)을 재현시키려는 의지, 둘째 수에서는 지중(至重)한 임금의 은혜를 갚기 위한 노력, 셋째 수에서는 선비로서 희학(戱謔)을 즐기되, 지나치지 말아야 할 것, 넷째 수에서는 올바른 말을 법칙으로 삼고 본받겠다는 것을, 다섯째 수에서는 어진 선비로서 놀고 즐김을 좋아하되, 거칠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여섯째 수에서는 인생을 후회 없이 즐기고 놀자는 뜻을 나타내었다.

댓글